TCP (4계층)
- TCP 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의 약자이며 한 기기에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 전송하는 것을 담당
-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
- 패킷을 안전하게 전달해주는 전송 프로토콜
- IP위에서 동작하고 데이터의 전달을 보장하고 순서도 보장.
- 3-way handshake
- 두 종단 간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.
- 클라이언트에서 연결 생성을 위해 SYN 요청
- 서버에서 생성 하겠다고 ACK 응답
- 클라이언트에서 생성 확인했다고 ACK 응답
-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부터 생성확인 ACK 응답 받으면 최종적으로 연결 생성 완료
IP (3계층)
- IP 는 인터넷 프로토콜(Internet Protocol)의 약자이며 이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조각을 최대한 빨리 대상 IP 주소로 보내는 역할을 표시
- 데이터가 제대로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기능이 없는 비연결형 프로토콜.
- 패킷들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최종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
- 패킷 전달 여부를 보장하지 않고, 순서 역시 보장X.
패킷
- 3계층(네트워크 계층)을 통해 전달받는 작은 데이터의 단위
- 용도
- 인터넷에서 하는 모든 작업에는 패킷이 사용. 인터넷에선 사용자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데, 데이터는 패킷으로 전달. 이런 네트워크를 패킷 교환 네트워크.
- 데이터는 패킷으로 나뉘어서 전송.
- 구조
- 헤더 : 패킷 길이, 프로토콜, 보낸/받는 사람의 IP 주소 등이 포함
- 페이로드 : 패킷의 본문
- 트레일러 : footer. 패킷의 끝에 도달했음을 수신 컴퓨터에 알리는 비트
'메모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취득해야할 자격증 목록 (0) | 2024.03.25 |
---|---|
CS - HTTP, HTTPS (0) | 2024.03.06 |
CS - 네트워크, OSI 7계층 (0) | 2024.03.02 |
CS - 자료구조(Stack, Queue, Hash Table, Set) (0) | 2024.03.01 |
CS - 자료구조(Array, LinkedList, ArrayList) (0) | 2024.0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