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메모/Git3

Git 3 오늘에서야 제대로 된 깃 사용법을 익힌 것 같다. 해당 과정은 꼭 여러 번 반복해서 숙달되도록 노력할 것 또 까먹고 진행하지 않은 디폴트 브랜치 설정 수정사항이 생긴 dev를 로컬에서는 수시로 pull을 사용해 최신화 할 것. organizations에서 깃 관리하는 법 dev에서 변경사항이 생겼을 때 어떤 방식으로 pull을 하는지 좀 더 찾아볼 것. 항상 깃 사용에 자신이 없었는데 이번 기회에 팀원 분들의 도움으로 기본적인 깃 사용은 할 수 있을 것 같아 마음이 놓인다. 이를 좀 더 반복해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깃 사용으로 인해 겪는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겠다. 제발!! 2023. 7. 22.
Git 2 github의 레퍼지토리 생성 후 두 번째 문단의 세 줄 git remote add origin 저장소 주소 git branch -M main git push -u(or --set-upstream origin main github의 code 버튼의 clone git 관리내역 포함 git hub에서 프로젝트 다운 git bash에서 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내 컴퓨터로 복사 git push 원격으로 커밋 올리기 git pull 원격으로 커밋 가져오기 push할 것이 있을 때, pull하는 두 가지 방법 git pull --no-rebase(merge 방식) or git pull --rebase(rebase 방식) git push 충돌 발생 시, Git 1글 참고 소스트리로 커밋 확인해보기 git.. 2023. 6. 5.
Git 1 untracked file Git의 관리에 들어간 적 없는 파일 git status 변경사항 확인 git add . 모든 파일 담기 git commit -m '커밋 메시지' 커밋 메시지와 함께 작성 git log 지금까지 진행한 커밋 내역 확인 reset 사용하는 법(원하는 커밋으로 돌아간 뒤, 이후 커밋들을 지움) git log로 커밋 내역 확인( 빠져나가고 싶을 때는 :wq) git reset --hard (돌아갈 커밋의 해시) 뒤에 커밋 해시가 없다면 마지막 커밋을 가리킴 revert 사용하는 법(되돌아가고 싶은 시점의 커밋을 거꾸로 실행) git log로 커밋 내역 확인 git revert (되돌아갈 커밋 해시) :wq 로 커밋 메시지를 저장 revert 한 시점에서 추가적인 수정 혹인 변경이 필.. 2023. 6. 2.